소식

non-HDL 측정값을 이용한 이상지질혈증 진단 및 권고사항

2023-06-02
조회수 3730

<이미지출처 : pixabay.com>


non-HDL 측정값을 이용한 이상지질혈증 진단


1. 콜레스테롤

1) 정의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은 물론 세포막을 구성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담즙산의 원료로 사용되어 생명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영양소

2) 종류

 - HDL 콜레스테롤 : 잉여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이송하여 대사 이용에 사용함

 - LDL 콜레스테롤 : 혈관 벽에 붙는 성질이 있으며, 이후 백혈구 등이 달라붙어 혈전을 형성함 

 - 중성 지방 : 섭취한 칼로리 중 활동을 위해 사용하고 남은 칼로리를 지방질로 만들어 몸에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함

3) 혈액 검사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공복 측정 필요)

4) 정상 범위

- 총 콜레스테롤(TC) 200mg/dL  이하

- LDL 콜레스테롤 130mg/dL  이하

- HDL 콜레스테롤 60mg/dL  이상

- 중성 지방 150mg/dL  이하

2. 이상지질혈증

1)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분류 기준 (※2022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제5판 기준)

LDL 콜레스테롤(mg/dL)
          매우 높음   ≥ 190
          높음   160 - 189
          경계   130 - 159  
          정상   100 - 129
          적정   < 100
총 콜레스테롤(mg/dL)
          높음   ≥ 240
          경계   200 - 239
          적정   < 200
중성지방(mg/dL) 
          매우 높음   ≥ 500
          높음   200 - 499
          경계   150 - 199
          적정   < 150
HDL 콜레스테롤(mg/dL)   
          낮음   < 40
          높음   ≥ 60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성

- 심혈관계질환의 주요 원인

- 보통 증상이 없어 검사 외 치료군을 찾기 어려움


3) 지질 상태의 평가

: 최소 2회 이상의 반복 검사가 필요함

① 공복상태(9~12시간 금식), 중성지방 수치가 400mg/dL 이하인 경우

공복상태가 아닌 경우 : non-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이용함

      non-HDL = TC – HDL

③ LDL을 직접 측정할 수 있음


4) 치료 기준 : LDL 및 non-HDL 기준

: 목표 non-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기존의 LDL 콜레스테롤의 목표치에 30을 더한 값

위험도LDL 콜레스테롤(mg/dL) non-HDL 콜레스테롤(mg/dL) 
관상동맥지환1)*< 55< 85
죽상경화성 허혈뇌졸증 및 일과성 뇌허혈발작*
경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복부대동맥류*
당뇨병(유병기간 10년 이상 또는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또는 표적장기손상은 동반한 경우)
2)
< 70< 100
당뇨병(유병기간 10년 이상 또는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100< 130
증등도 위험군(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2개 이상)< 130< 160
저위험군(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1개 이하)< 160< 190

* LS 콜레스테롤 기저치 대비 50% 이상 감소 시키는 것을 동시에 권고

연령(남자≥45세, 여자≥55세), 조기 심혈관질환 발생 가족력, 고혈압, 흠연, 낮은 HDL콜레스테롤 수치(<40mg/dL)

1) 급성심근경색증은 기저치 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상관없이 스타틴을 투약

2) 표적장기손상(알부민뇨, 만성콩팥병[추정사구체여과율 60mL/mim/1.7㎡미만], 망막병증, 신경병증, 좌심실비대) 또는 3개 이상의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동반한 당뇨병의 경우 :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 <50mg/dL 선택적 고려 가능


*참고문헌

2022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제5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17 소아청소년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대한소아내분비학회




검사 결과에 따른 결과 및 의학적 권고 사항

 

* 본 연구에서는 공복검사가 어려운 상황을 감안하여 non-HDL 콜레스테롤 검사 결과를 활용하였습니다.

* 이상지질혈증은 소아청소년기에서부터 시작되고 지속되어 성인기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작용하므로, 이를 조기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분non-HDL 
콜레스테롤(㎎/dL)
권고사항
성인정상< 160

이상지질혈증 검사결과 정상으로 확인됩니다.

적절한 체중관리와 유산소 운동을 지속하시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단, 뇌심혈관질환의 병력이 있거나 당뇨 치료 중인 경우는 좀 더 엄격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현재 치료 중인 질병이 있다면 지속적으로 추적관찰하시기 바랍니다. 

주의160 - 189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체중관리 및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이 필요하며, 현재 치료 중인 뇌심혈관계 질병이 있으시다면 지속적인 치료와 추적관찰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치료 필요190 ≤ 

이상지질혈증으로 확인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약물치료가 필요한 상태이므로 내과 및 가정의학과를 방문하여 정밀검사를 받으시고 결과에 따라 치료를시작하십시오. 또한 체중관리 식습관 개선,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이 필요하며, 현재 치료 중인 뇌심혈관계 질병이 있으시다면 적극적인 관리를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소아청소년허용< 120이상지질혈증 선별검사상 ‘허용’ 범위에 해당합니다.
경계120 - 144이상지질혈증 선별검사상 ‘경계’ 범위에 해당합니다.
비정상
145 ≤
이상지질혈증 선별검사상 ‘비정상’ 범주에 해당하여 공복지질검사 시행이 필요합니다. 빠른 시일내 해당 검사가 가능한 병원에 방문하시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