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플라스틱 국제 협약)에 대한 국내 대응 활동의 일환으로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전망과 과제 :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포럼이 9일 그린피스 7층 SKY룸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됩니다. 포럼은 서울환경연합 유튜브에서 생중계 됩니다.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은 '플라스틱과 유해물질'에 대해 발제합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4월 23일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제4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제4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 이후에는 협약 내용을 구체화하여 최종 성안을 목표로 마지막 회의인 제5차 회의가 11월 부산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국제협약은 파리협정 이후 가장 큰 국제적 기후 합의로 평가되며 플라스틱의 전주기를 다룬다는 지점에서 앞으로 국제사회에 큰 변화를 이끌 전망입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플라스틱 협약의 성안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태도를 촉구하며 플라스틱 국제협약에 대응하고 있는 국내⋅외 시민단체들과 함께 ‘플뿌리 연대('플'라스틱 문제를 '뿌리'뽑는 '연대')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플뿌리 연대’에는 그린피스, 기후변화센터, 녹색연합,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서울환경연합, 알맹상점, 여성환경연대,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자원순환사회연대, 환경운동연합, RELOOP 등 13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플라스틱 국제 협약)에 대한 국내 대응 활동의 일환으로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전망과 과제 :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포럼이 9일 그린피스 7층 SKY룸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됩니다. 포럼은 서울환경연합 유튜브에서 생중계 됩니다.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은 '플라스틱과 유해물질'에 대해 발제합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4월 23일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제4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제4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 이후에는 협약 내용을 구체화하여 최종 성안을 목표로 마지막 회의인 제5차 회의가 11월 부산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국제협약은 파리협정 이후 가장 큰 국제적 기후 합의로 평가되며 플라스틱의 전주기를 다룬다는 지점에서 앞으로 국제사회에 큰 변화를 이끌 전망입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플라스틱 협약의 성안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태도를 촉구하며 플라스틱 국제협약에 대응하고 있는 국내⋅외 시민단체들과 함께 ‘플뿌리 연대('플'라스틱 문제를 '뿌리'뽑는 '연대')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플뿌리 연대’에는 그린피스, 기후변화센터, 녹색연합,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서울환경연합, 알맹상점, 여성환경연대,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자원순환사회연대, 환경운동연합, RELOOP 등 13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