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모니터링이란?


우리는 여러 화학물질로부터 만들어진 다양한 물건들을 사용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화학물질이 대량으로 유통되고 사용되면서 이전 세대와는 다른 건강영향이 나타나고 있죠. 최근 환경호르몬과 오랫동안 환경에 잔류하는 물질들로 인한 사회문제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는 환경호르몬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우리는 시민들이 어떤 유해물질에 어느 정도로 노출되고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리고 그로 인해 건강영향을 확인하고 싶어졌습니다. 


바이오모니터링(BioMonitoring)이란 잠재적인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  평가 및 확인, 화학물질의 체내 작용 확인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몸 속의 유해물질 노출량을 분석하기 때문에 유용한 연구 방법으로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바이오모니터링이 설계·시행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해외 바이오모니터링 프로그램들

미국 질병관리청에서는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를 통해 미국인들이 매우 높은 수준의 납에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토대로 미 의회와 미국환경청은 가솔린에서 납 첨가물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정책을 도입하게 됩니다. 페인트에서 납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법도 만들어지게 되죠. 그 결과 어린이들의 혈중 납농도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납, 수은, 폴리염화비페닐 등 특정 화확물질에 대한 노출을 분석하는 'Biomonitoring Massachusetts',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Biomonitoring California', 침묵의 봄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Detox me action' 등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홈페이지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홈페이지


대한민국의 바이오모니터링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입니다. 올해 5기 조사가 시작되는 국민환경기초조사는 중금속 9종, 내분비계장애물질 17종, 과불화화합물 5종 등 64종의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의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사업에 비해 조사항목이 턱 없이 부족합니다. 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그에 맞는 정책적 조치를 만들어가는 노력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시민과 함께하는 바이오모니터링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바이오모니터링 프로젝트는 목적지향적인 바이오모니터링을 위해 가족을 사업의 기본 단위로 설정했습니다. 남원, 여수, 서울 등 지역특성이 반영된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 진단 뿐 아니라 올바른 해결방안을 찾아나가기 위한 노력을 할 예정입니다. 또한 바이오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정보를 생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결과를 시민들과 나누기 위한 자리로 마련하고자 합니다. 한 번의 연구로 끝나지 않고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삶을 위한 시민들의 생활방식 변화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또 개선 결과가 다시 바이오모니터링에서 재확인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가려고 합니다.